본문 바로가기
경제

전기차 부품 관련주, 삼영 기업 정보 주가 전망 투자 전략 총정리

by 냥앙123 2023. 11. 5.

 

삼영이 적자 사업인 우유팩 사업을 접고, 전기차 소재 사업에 시동을 걸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삼영의 다양한 지표들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투자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삼영
2. 주요 지표 분석
3. 실적 분석
4. 업종 비교 분석
5. 재무 비율 분석
6. 기술 지표 분석
7. 결론

 

클릭시 삼영 이슈 페이지로 이동됩니다

삼영

삼영은 국내에서 필름형 박막 콘덴서 관련 제품을 주력으로 투자하고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그런데, 그냥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에서 캐파시타 필름의 시장 점유율이 약 80%나 된다는 건 상당한 것이며, 이런 강력한 점유율로 인해 삼영은 이 분야에서의 투자와 경쟁력을 확실히 가지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BOPP, PVC 등 다양한 제품들을 생산하며 시장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주요 지표 분석

EPS 79: 주당순이익을 나타내는 이 지표는 기업의 투자 수익성을 나타냅니다. 삼영의 경우에는 상당히 양호한 편입니다.

 

BPS 1,525: 주당순자산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삼영의 자본 건전성을 나타냅니다.

 

PER 69.84 (업종PER: 20.66): 이는 삼영의 주가가 얼마나 투자 고평가 되어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업종 평균 대비 높은 편입니다.

 

PBR 3.64: 주가 대비 순자산 가치를 나타내주는 지표로, 삼영의 투자 주가가 자산 가치 대비 높게 평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적 분석

2023년 6월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은 9.1% 감소했는데, 이는 일부 시장의 경기 부진으로 인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은 816.7%나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주로 원가율의 하락과 고부가가치 제품의 판매 증대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또한, 신재생 에너지와 전기차 시장에서의 물량 확대로 인한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업종 비교 분석

삼영은 LG화학, SK이노베이션 같은 대기업과 비교하면 규모가 작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출액 336억, 영업이익 7억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클릭시 삼영 투자지표 페이지로 이동됩니다

재무비율 분석

안정성비율:

유동비율 74.0%: 단기 부채에 비해 유동자산이 얼마나 많은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적절한 수준입니다.

 

부채비율 171.3%: 전체 자산에 대한 부채의 비율로, 다소 높은 편으로 보입니다.

성장성비율:

매출액증가율 -9.1%: 경기 부진으로 인해 감소한 것으로 보입니다.

수익성비율

영업이익률 2.9%: 수익성이 크게 개선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ROA 4.2%, ROE 10.6%: 기업의 경영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양호한 수준입니다.

활동성비율:

총자산회전율 1.0: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적절한 수준입니다.

기술지표 분석

퀀트기술평가 및 기술투자매력도

  • 전체 기술주 중 퀀트기술평가에서 하위 6.25%(1,919위 / 2,047개 기업)에 랭크되어 있습니다.
  • 대표 섹터인 화학에서는 하위 6.32%(89위 / 95개 기업)로 평가 받았습니다.
  • 대표 테마인 석유화학에서는 41개 기업 중 41위로 랭크되었습니다.

기업가치 추정

동종분야 기업들의 평균적인 기술력 대비 주가를 기준으로 볼 때, 현재 해당 기업의 기술력 대비 주가는 고평가되어 있습니다.

기술 분석

  • 기술투자지수 : 2,758.4
  • 기술력점수(TSS) : 0.7
  • 기술경쟁력등급(TCG) : C-
  • 특허평가점수(APES) : 13.7

 

해당 기업의 기술지표는 전체적으로 하위권에 랭크되어 있으며, 기술력 대비 주가가 고평가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투자자들은 이를 참고하여 투자 결정을 내릴 때 주의가 필요합니다.

결론

삼영은 국내 캐파시타 필름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투자 재무상태 또한 양호하다는 점에서 긍정적입니다. 그러나, 안정성 면에서의 부채비율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며, 업종 대비 높은 PER, PBR로 인해 주가의 고평가가 우려됩니다. 장기적으로는 투자 시장 확대 및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주가의 조정 가능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봤을 때, 해당 기업은 장기 투자에 적합하다고 판단됩니다. 투자자들은 단기적인 변동성에 주의하면서,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중점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클릭시 다른 관련주 정보로 이동됩니다

 

본 포스팅은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주식투자를 하는데에 있어서, 자신만의 기준을 가지고 소신껏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